마케팅 분야에 종사하거나 마케팅에 관심 있는 분들이라면 쿠키라는 용어에 대해서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사용자가 웹페이지에 방문하면 사용 흔적을 남기는 데이터를 쿠키라고 하는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검색 플랫폼인 구글이 사용자의 개인정보 보호 차원에서 3사 쿠키(3rd party) 지원을 2022년 4월부로 종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쿠키란 무엇일까? 쿠키는 다시 1사 쿠키와 3사 쿠키로 나뉘는데 1사 쿠키와 3사 쿠키의 핵심을 표로 비교해보았습니다. 구글에서 지원 종료할 예정인 쿠키는 1사 쿠키가 아닌 3사 쿠키입니다. 1사 쿠키(1st Party) 3사 쿠키(3rd Party) 쿠키를 심는 주체 사용자가 방문하는 해당 웹사이트 도메인 광고 제공자, 소셜미디어 사이트 등 쿠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검색광고비용으로 발생하는 CPC, CPM에 대해서 각각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키워드광고라고 하는 검색광고에 광고비용이 발생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 CPC(Cost Per Click) 사이트나 앱을 방문하는 사용자가 광고를 클릭할 때마다 발생하는 광고비용으로 검색광고비용의 가장 대표적인 비용 발생 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광고 클릭당 단가라는 의미로 PPC(Pay Per Click)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광고를 실행하는 광고주의 입장에서 본다면, CPC의 경우에는 광고 실행 중 해당 키워드에 대한 단가가 상승할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해야 하고 키워드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비용의 상승폭이 훨씬 심해질 것입니다. ▶ CPM(Cost Per Millennium) 광..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페이지뷰와 방문자수가 각각 어떤 의미로 사용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블로그나 웹사이트 등을 운영하고 있다면 페이지뷰 혹은 방문자수에 대해 이해했을때 훨씬 더 구체적인 운영 계획을 세우실 수 있을 것입니다. ▶ 페이지뷰 먼저, 페이지뷰란, 사이트를 방문한 사용자가 웹페이지를 열어본 전체 횟수를 의미합니다. 만약 한 사용자가 제 블로그에 들어와서 메인화면을 보고, 카테고리를 선택해서 카테고리 화면으로 넘어가고, 그 카테고리 안에 있는 포스팅을 보았다면 페이지뷰는 총 3으로 집계됩니다. 이 때, 새로고침, 이전페이지, 다음페이지 등도 페이지뷰로 집계됩니다. 구글 애널리틱스와 같은 사이트 분석 툴을 사용하고 계시는 분들이라면 아래와 같이 각 페이지에 대한 페..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ADID에 대해서 쿠키와 비교하며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쿠키에 대한 설명은 아래의 포스팅에 정리를 해두었으니 참고해주세요. 쿠키가 무슨 뜻일까?(1사 쿠키, 3사 쿠키의 차이도 함께 살펴보자)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 용어로 사용되는 쿠키라는 용어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쿠키라고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는데요. datalibrary.tistory.com 휴대폰을 사용할 때 운영체제별로 기기에 광고 식별 값이 남게 되는데, 이 광고 식별 값을 안드로이드의 경우 ADID(Advertising ID)라고 부르고, 아이폰의 경우 IDFA(ID for Advertisers)라고 부릅니다. 기기별 1개씩 임의로 부여되는 광고 식..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인터넷 용어로 사용되는 쿠키라는 용어가 무엇을 뜻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 쿠키라고 검색해보면 아래와 같이 설명되어 있는데요. ▶ 쿠키의 뜻 사용기록을 쿠키로 저장해두고 있기 때문에 한 번 방문한 웹사이트를 다음에 다시 방문할 때에는 웹사이트 주소 전체를 다 입력하지 않아도 자동 완성되어 지난 번 방문했던 웹사이트 주소로 이동할 수 있다거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매번 다시 입력하지 않아도 바로 로그인 될 수 있는 등 웹 환경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러면 왜 이렇게 사용기록을 저장해 두는 임시 파일을 "쿠키"라고 부르는 것일까요? 사용자가 웹사이트를 사용하고 남는 기록이 마치 과자를 먹고 부스러기가 남는 것과 유사하다고 해서 쿠키라는 이름이..
DMP는 Data Management Platform의 약자로 비식별 빅데이터를 수집, 분류, 저장, 선별해서 광고의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으로 실행한 광고가 효과를 내기 위한 정확한 소비자를 찾아서 해당 광고를 노출시킬 타겟 모수를 확보하는 역할을 합니다. ▶ DMP의 목적은 광고의 정확한 타겟팅이다. 예를 들어 사이트의 사용자를 성별, 연령, 지역, 관심사 등으로 분류하고 광고와 유사한 분류에 속한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노출시킬 수 있다면 전혀 상관없는 관심사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광고가 노출이 되거나 분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사용자들에게 광고를 노출할 때보다 훨씬 더 효율적인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사이트 내에 어떤 콘텐츠를 클릭했는지, 얼마나 오랫동안 체류해 ..